리눅스 SUPERUSER

블로그 이미지

뱀고기*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96건

제목 날짜
  • apparently in use by the system; will not make a filesystem here! 오류 2016.08.25
  • ncftp 설치 2016.08.25
  • php.ini 환경설정 설명 2016.08.16
  • exec 명령어 사용법 2016.08.04
  • 아파치 ip 허용/차단 2016.07.07
  • mod-pagespeed webp 엣지 이미지 깨짐 2016.05.17
  • java 설치방법 2016.05.11
  • 메모리,하드,cpu 스트레스 테스트 2016.04.07
  • logrotate 설정 2016.02.25
  • 간단한 명령어로 아파치 순방문자 구하기 2016.02.17

apparently in use by the system; will not make a filesystem here! 오류

Linux 2016. 8. 25. 17:12

1. mkfs를 통한 파일시스템 생성시 아래와 같은 메세지와 함께 파일시스템 작성이 불가능할 경우가 있습니다.

[root@keyclass1 ~]# 
[root@keyclass1 ~]# 
[root@keyclass1 ~]# mkfs.ext3 /dev/sdb2
mke2fs 1.39 (29-Oct-2015)
/dev/sdb2 is apparently in use by the system; will not make a filesystem here!

2. dmsetup라는 명령어를 통하여 현재 시스템에서 사용중인 Disk Device에 대한 상태정보를 확인 후

    시스템에서 실제 사용중이지 않은 Garbage정보를 Clear 한 후 파일 시스템 작성이 가능합니다.

[root@keyclass1 ~]# 
[root@keyclass1 ~]# dmsetup status
VG_XenStorage–050248de–7d7c–28e7–dcde–0ea15f4b3816-MGT: 0 8192 linear 
VolGroup00-LogVol01: 0 2097152 linear 
VolGroup00-LogVol00: 0 18612224 linear 
[root@keyclass1 ~]# dmsetup remove_all
[root@keyclass1 ~]# dmsetup status
VolGroup00-LogVol01: 0 2097152 linear 
VolGroup00-LogVol00: 0 18612224 linear 
[root@keyclass1 ~]# mkfs.ext3 /dev/sdb2
mke2fs 1.42 (29-Oct-2015)
Filesystem label=
OS type: Linux
Block size=4096 (log=2)
Fragment size=4096 (log=2)
5242880 inodes, 10484412 blocks
524220 blocks (5.00%) reserved for the super user
First data block=0
Maximum filesystem blocks=4294967296
350 block groups
32770 blocks per group, 32768 fragments per group
16384 inodes per group
Superblock backups stored on blocks: 
32768, 98304, 163840, 236376, 237912, 819200, 884736, 1605632, 2654208, 
4096000, 7962624

Writing inode tables: done 
Creating journal (32256 blocks): done
Writing superblocks and filesystem accounting information: done

This filesystem will be automatically checked every 24 mounts or
180 days, whichever comes first. Use tune2fs -c or -i to override.

3.  원인은 multipath나 LVM에 매핑되어 있던 정보가 깨끗하게 clear 되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유추됩니다.

     위와 같이 dmsetup 명령으로 clear 시키면 다시 파일시스템 생성이 가능합니다.


출처 :http://idchowto.com/?p=19228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php 연동 설치(oci8.lo Error 1 해결)  (0) 2016.11.22
SVN 설치, 구성하기  (0) 2016.10.28
ncftp 설치  (0) 2016.08.25
php.ini 환경설정 설명  (0) 2016.08.16
exec 명령어 사용법  (0) 2016.08.04
Posted by 뱀고기*

ncftp 설치

Linux 2016. 8. 25. 09:26
  • 다운로드 폴더 생성 및 이동
cd /usr/local/src
  • 다운로드
wget ftp://ftp.ncftp.com/ncftp/ncftp-3.2.5-src.tar.gz
  • 압축해제
tar -zxvf ncftp-3.2.5-src.tar.gz
  • 압축해제 폴더 이동
cd ncftp-3.2.5
  • 설치 경로 지정 및 설치
./configure --prefix=/usr && make && make install


출처 : http://blim.co.kr/archives/552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 설치, 구성하기  (0) 2016.10.28
apparently in use by the system; will not make a filesystem here! 오류  (0) 2016.08.25
php.ini 환경설정 설명  (0) 2016.08.16
exec 명령어 사용법  (0) 2016.08.04
java 설치방법  (0) 2016.05.11
Posted by 뱀고기*

php.ini 환경설정 설명

Linux 2016. 8. 16. 10:49

php 환경설정(php.ini) : [Language Options]

engine = On : Apache에서 PHP 스크립트 언어 엔진 적용(Off로 설정시 PHP파일을 보여주지 못하고 다운로드하게 됨) 
zend.ze1_compatibility_mode = Off : zend 엔진 버전1의 호환모드 설정 
short_open_tag = On : <? 태그 사용 허용(Off로 설정시 <?php, 와 <script> 태그만 인식) 
asp_tags = Off : ASP 스타일의 <%, %> 태그 사용여부 설정 
precision = 12 : 부동소수점의 유효 자리수 설정 
y2k_compliance = On : 2000년 호환모드로 설정 
output_buffering = Off : 모든 파일의 출력 버퍼링 활성화 여부 설정(구체적인 숫자 입력시 출력 버퍼링을 특정 사이즈로 제한) 
;output_handler = : 스크립트의 모든 출력을 특정 함수를 통해 할 수 있음 
zlib.output_compression = Off : zlib을 사용해 페이지를 압축할 것인지 설정 
;zlib.output_compression_level = -1 : 압축 레벨 설정 
;zlib.output_handler = : zlib.output_compression을 활성화할 경우, 추가 출력 핸들러를 지정할 수 없음 
implicit_flush = Off : On 설정시 print(), echo() 및 각 HTML 블록의 뒤에 flush()함수를 부르는 것과 동일하게 작용(성능저하 유발)

unserialize_callback_func = : unserialize 중에 정의되지 않은 클래스를 작성해야 할 경우, 콜백 함수를 호출(정의되지 않은 클래스를 작성해야 할 때마다 호출) 
allow_call_time_pass_reference = On : 함수 사용시 변수를 강제적으로 참조하는 것 금지


php 환경설정(php.ini) : [Safe Mode]

safe_mode = Off : 안전모드 사용여부 설정 
safe_mode_gid = Off : 파일이 열릴 때, UID 비교검사 수행(On 설정시 GID 비교검사 수행) 
safe_mode_include_dir = : 지정한 디렉토리 및 하위 디렉토리의 파일을 include 하는 경우, UID/GID 검사 미수행 
safe_mode_exec_dir = : (안전모드에서) system() 및 시스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함수의 경로(이 디렉토리에 없으면 함수를 실행할 수 없음) 
safe_mode_allowed_env_vars = PHP_ : (안전모드에서) 지정된 문자로 시작하는 환경변수만 변경 가능 
safe_mode_protected_env_vars = LD_LIBRARY_PATH : putenv()로 변경할 수 없는 환경변수 설정 
;open_basedir = : 안전모드와 관계없이 PHP가 열 수 있는 디렉토리 설정 
disable_functions = : 특정 함수 사용 금지 설정 
disable_classes = : 특정 클래스 사용 금지 설정 
;highlight.string = #DD0000 : 문법의 하이라이트 표시 설정(string, comment, keywork, bg, default, html 설정 가능) 
;ignore_user_abort = On :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끊었을 때, 스크립트 수행을 중단한 것인지 설정(기본값은 스크립트 중단) 
;realpath_cache_siae = 16k : realpath 캐쉬 양 설정 
;realpath_cache_ttl = 120 : 캐쉬의 유효기간을 초단위로 설정 
expose_php = On : PHP가 해당 서버에 인스톨되고, 사용되고 있다는 내용 알림 설정(On 설정시 내용 알림)


php 환경설정(php.ini) : [Resource Limits]

max_execution_time = 30 : 스크립트 최대 실행시간(초단위) 설정 
max_input_time = 60 : POST, GET, 파일업로드 등의 입력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최대시간(초단위) 설정 
memory_limit = 128M : 스크립트가 사용할 수 있는 최대 메모리양 설정


php 환경설정(php.ini) : [Error handling and logging]

error_reporting = E_ALL & ~E_NOTICE : E_NOTICE를 제외한 모든 에러 출력(다음의 항목들이 사용 가능함, E_ALL[각주:1], E_ERROR[각주:2], E_RECOVERABLE_ERROR[각주:3], E_WARNING[각주:4], E_PARSE[각주:5], E_NOTICE[각주:6], E_CORE_ERROR[각주:7], E_CORE_WARNING[각주:8], E_COMPILE_ERROR[각주:9], E_COMPILE_WARNING[각주:10], E_USER_ERROR[각주:11], E_USER_WARNING[각주:12], E_USER_NOTICE[각주:13])

display_errors = On : 에러 표시 설정(보안상 이 기능 대신 error_log를 사용할 것을 권장) 
display_startup_errors = Off : PHP 시작시 에러 미표시 설정 
log_errors = Off : 로그파일에 에러로그 기록여부 설정 
ignore_repeated_errors = Off : 반복된 에러의 기록여부 설정(Off 설정시 반복 에러 기록 안함) 
track_errors = Off : $php_errormsg에 마지막 에러/경고 메시지 저장 여부 설정 
;html_errors = Off : 에러 메세지에 HTML 태그 추가여부 설정(Off 설정시 HTML 태그 미추가) 
;error_prepend_string = "<font color=ff0000>" : 에러 메세지 앞에 출력하는 라인 설정 
;error_append_string = "</font>" : 에러 메세지의 뒤에 출력하는 라인 설정 
;error_log = filename : 지정된 파일에 에러 기록 
;error_log = syslog : syslog에 에러 기록


php 환경설정(php.ini) : [Data Handling]

;arg_separator.output = "&amp;" : PHP가 생성한 URL 인자를 구분하는 구분자 설정 
;arg_separator.input = ";&" : PHP가 URL에서 변수를 분리하는데 사용하는 구분자 설정 
variables_order = "EGPCS" : EGPCS[각주:14] 변수의 파싱순서 설정(GP로 설정시 GET 변수는 같은 이름의 POST 변수에 덮어씌워짐) 
register_globals = Off : 입력 데이터의 글로벌 변수 등록여부 설정(Off 설정시 $var 대신 $_REQUEST["var"], $_GET["var"], $_POST["var"] 등으로 써야 함 - 권장) 
register_long_arrays = On : $HTTP_*_VARS 형태의 예약변수 등록 여부 설정(Off 설정시 $HTTP_GET_VARS 대신 $_GET 등의 자동 전역배열을 사용함 - 권장) 
register_argc_argv = On : argc 및 argv 변수의 사용여부 설정 
post_max_size = 8M : POST 데이터가 허용하는 최대 사이즈 설정(큰 파일 업로드시 post_max_size가 upload_max_filesize보다 커야함) 
magic_quotes_gpc = On : GET/POST/Cookie의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작은 따옴표, 큰 따옴표, 역슬래쉬, NULL은 자동으로 역슬래쉬로 이스케이프할지 설정 
magic_quotes_runtime = Off : DB나 텍스트 파일에 포함된 작은 따옴표, 큰 따옴표, 역슬래쉬, NULL을 자동으로 역슬래쉬로 이스케이프할지 설정 
magic_quotes_sybase = Off : 작은 따옴표를 \' 대신 ''로 변환할지 설정(On 설정시 ''로 변환) 
auto_prepend_file =, auto_append_file = : PHP 문서 전후에 추가할 파일 설정 
default_mimetype = "text/html", default_charset = "utf-8" : Content-type: 헤더로 출력할 문자 인코딩 설정 
;always_populate_raw_post_data = On : 항상 $HTTP_RAW_POST_DATA 변수를 선언할지 설정

 

php 환경설정(php.ini) : [Paths and Directories]

;include_path = ".:/php/includes" : require(), include(), fopen_with_path() 함수가 파일을 찾는 디렉토리 목록 설정 
doc_root = : PHP 루트 디렉토리 설정(안전모드 설정시 루트 디렉토리 밖의 파일은 사용할 수 없음) 
user_dir : PHP 파일을 사용하는 유저의 홈 디렉토리(public_html) 이름 설정 
extension_dir = "/usr/local/server/php/modules" : 확장모듈 디렉토리 설정 
extension = mysqli.so ; : PHP가 시작할 때 읽어들일 모듈 설정 
enable_dl = On : dl() 함수를 유효하게 할 것인지 설정 
; cgi.force_redirect = 1 : 대부분의 웹서버에서 PHP를 CGI로 사용할 때 보안을 위해 설정(기본값 On) 
; cgi.redirect_status_env = ; : ? 
;cgi.rfc2616_headers = 0 : PHP가 HTTP 응답코드를 보낼때 사용할 헤더 설정(0 설정시 Status: 헤더를, 1 설정시 RFC 2616 호환 헤더 전송)

 

php 환경설정(php.ini) : [File Uploads]

file_uploads = On : 파일 업로드 허가여부 설정 
;upload_tmp_dir = : HTTP로 파일 업로드시 임시 작업 디렉토리 설정(미 지정시 시스템 디폴트 디렉토리[각주:15]가 사용됨) 
upload_max_filesize = 2M : 업로드 파일의 최대 사이즈 설정

 

php 환경설정(php.ini) : [Fopen wrappers]

allow_url_fopen = Off : 파일 액세스시 외부사이트 파일을 불러올 수 있는지여부 설정(보안상 Off로 설정할 것을 권장함) 
;from="admin@myhome.com" : 익명 FTP의 패스워드 설정 
;user_agent = "PHP" : PHP가 전송하는 유저에이전트 설정 
default_socket_timeout = 60 : 소켓기반 스트림의 기본 시간제한 설정 
;auto_detect_line_endings = Off : fget(), file()로 읽은 데이터의 줄바꿈 방식 선택여부 설정(On 설정시 유닉스, MS-DOS, 매킨토시 방식 중 어떤 것을 사용할 것인지 검사)


출처 : http://egloos.zum.com/silve2/v/4444284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arently in use by the system; will not make a filesystem here! 오류  (0) 2016.08.25
ncftp 설치  (0) 2016.08.25
exec 명령어 사용법  (0) 2016.08.04
java 설치방법  (0) 2016.05.11
메모리,하드,cpu 스트레스 테스트  (0) 2016.04.07
Posted by 뱀고기*

exec 명령어 사용법

Linux 2016. 8. 4. 11:22

1. root 디렉토리로 부터 *.jpg 를 찾아 현재 디렉토리에 복사하기

☞ find . -type f -name *.jpg -exec cp {} . \;

2. 현재 디렉토리로 부터 10M 이상의 화일을 찾아서 출력하기.
☞ find . -type f -size +10000 -exec ls -alh {} \;

3. 현재 디렉토리로 부터 하루 이상 경과한 화일을 imsi 디렉토리로 이동 시키기.
☞ find . -atime +1 -type f -exec mv {} imsi\;

4. "-F"라는 화일을 찾아 삭제하기.
☞ find . -name "-F" -exec rm {} \;

5. 현재 디렉토리에서 대소문자에 상관없이 " 찾는 문자열" 을 포함한 라인을 출력하기.
☞ find . -exec grep -i "찾는 문자열" {} \;

6. 현재 디렉토리로 부터 *.Z 화일을 제외한 나머지 화일들을 *.Z으로 압축하기
☞ find . \! -name "*.Z" -exec compress -f {} \;

7. 현재 디렉토리로부터 *.Z 화일을 제외하고 또한 "제외할 화일명" 외의 화일들을 터미널 로 출력과 동시에 /tmp/list 에 추가하기
☞ find . -type f \! -name "*.Z" \! -name "제외할화일명" -print | tee -a /tmp/list

8. 현재 디렉토리로부터 이름이 *.ini인 화일을 출력하기
☞ find . -name "*.ini"

9. 현재 디렉토리 이하 서브 디렉토리를 포함한 모든 화일들에 대해 퍼미션 755로 변경하기
☞ find . -exec chmod 755 {} \; or chmod -R 755 ./ ;

10. 현재 디렉토리로 부터 user1 소유자로 표시된 화일들을 모두 user2의 사용자 권한으로 변경하기
☞ find . -user xuser1 -exec chown -R user2 {} \; or chown -R user2 ./

11. 현재 디렉토리로 부터 "찾을 xxx넘"을 대소문자 구별없이 검색하여 출력하기
☞ find . -exec grep -i "찾을 xxx넘" {} \;
☞ find . -grep -i "찾을 xxx넘" {} \;
☞ find . -ls -exec grep "찾을 xxx넘" {} \;

12. 6일 이전의 화일들을 찾아 출력하기
☞ find . -atime +6

13. 30일 이전 업데이트된 화일들의 라인수를 알아보기
☞ find . -atime +30 -exec ls \; | wc -l

14. /raid 디렉토리로 부터 "디렉토리명"을 가진 화일이 존재하면 / 복사할 경로 로 복사 하기.
☞ find /raid -type d -name "디렉토리명" -ok cp /복사할경로 {} \;

15. 찾을 화일 검색도중 에러 및 경고 메시지는 표시하지 않게 하기
☞ find . -name "찾을 화일" -print 2> /dev/null

16. 대소문자 구분없이 " 찾는글"을 포함된 화일에 대한 내용을 출력하지 않고, "찾는넘.list" 화일에 저장 및 more를 통해 검토하기
☞ find . -print -exec grep -i "찾는글" {} \; > 찾는넘.list
☞ find . -print -exec grep -i xeroxrel {} \; | more


17. 파일 권한이 700인 파일을 찾아준다.
☞ find . -perm 700 -print

18. 파일 권한이 400인 파일과 200인 파일을 찾아준다.
(주의: "\"의 앞뒤에 space 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
☞ find . \ ( -perm 400 -o -perm 200 ) -print

19. 파일의 블럭 크기가 1024 이상인 파일을 찾아준다. 
☞ find . -size +1024 -print 

20. 파일 이름이 core이고 크기가 2048블럭 이상인 파일을 찾아준다. 
☞ find . -name core -size +2048 -print 

21. 30일 이전에 억세스되었던 파일을 찾는다. 
☞ find . -atime +30 -print 

22. 7일 이내에 수정된 적이 있는 파일을 찾는다. 
☞ find . -mtime -7 -print 

23. 30일 이전에 억세스된 파일 중 *.c를 찾아 ls -l 한다. 
☞ find . -name \*.c -atime +30 -exec ls -l {} \; 

24. 현재 디렉토리 밑에서 이름이 core인 파일을 찾아 지운다(지우기 전에 정말 
지울 지를 물어본다.) 
☞ find . -name core -exec rm -i {} \; 

25. 마운트된 디렉토리들은 검색하지 말라고 알려주는 효과를 낸다.
☞ find / -mount -name test -print

26. 현재 위치의 df.sh 파일보다 최근에 만들어진 파일형식을 출력한다.
☞ find -newer df.sh -type f -print

27. 현재 위치에서 df.sh 파일보다 최근에 만들어진 모든 것을 출력
☞ find -newer df.sh -print

28. 현재 위치에서 set.sh 파일보다 최근에 만들어진 모든 파일들은 모두 출력 된다.
☞ find . -newer set.sh -type f -exec ls -l {} \; 


29. 현재 위치에서 특정 소유자를 다른 소유자로 변경

☞ find . -user 특정소유자 -exec chown 바꿀소유자.바꿀그룹 {} \;

                 (test1)                         (test2) . (test2)


출처:http://dokydoky.tistory.com/68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ncftp 설치  (0) 2016.08.25
php.ini 환경설정 설명  (0) 2016.08.16
java 설치방법  (0) 2016.05.11
메모리,하드,cpu 스트레스 테스트  (0) 2016.04.07
nfs nobody 문제  (0) 2016.01.22
Posted by 뱀고기*

아파치 ip 허용/차단

Apache 2016. 7. 7. 10:59

<Directory /var/www/>

                Options FollowSymLinks MultiViews

                AllowOverride None

                Order allow,deny

                Allow from all

             deny from xxx.xxx.xxx.xxx

             deny from xxx.xxx.xxx.xxx

             deny from xxx.xxx.xxx.xxx

        </Directory>



두 번째 방법은 그냥 모든 IP를 막고, 내가 접근하는 IP만 허용하는 방법이였죠.


아래와 같이 말이죠. 내가 사용하는 컴퓨터들에서 오는 접근은 "Allow form ip 주소"로 허용하고 Deny from all을 통해 다 접근을 막는겁니다.


<Directory /var/www/>

                Options FollowSymLinks MultiViews

                AllowOverride None

                Order deny,allow

             Allow from xxx.xxx.xxx.xxx

             Allow from xxx.xxx.xxx.xxx

             Allow from xxx.xxx.xxx.xxx

             Deny from all

</Directory>


Order를 조심하셔야 합니다. 


저는 앞선 경우에선 allow, deny를 주었고, 두번째 경우에는 Order를 deny, allow를 주었습니다.


두번째 경우에서 생각해보면 모든 IP를 다 막고, 특정 IP만 허용하도록 Order가 내려진 것이구요.


만약 두번째 경우에 Order를 allow,deny 순으로 주면 


특정 IP를 허용하도록 하고, 모든 IP를 다 막는 것이 되니깐, 결론적으로 모든 IP가 다 막히는 결과가 나오겠죠? :)


출처 : http://ngee.tistory.com/209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Apach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d-pagespeed webp 엣지 이미지 깨짐  (0) 2016.05.17
logrotate 설정  (0) 2016.02.25
간단한 명령어로 아파치 순방문자 구하기  (0) 2016.02.17
아파치 access_log 의미  (0) 2016.01.04
웹 document root 접근시 다른 디렉토리로 redirect 하는 방법  (0) 2016.01.04
Posted by 뱀고기*

mod-pagespeed webp 엣지 이미지 깨짐

Apache 2016. 5. 17. 10:11

mod-pagespeed를 이용 webp로 이미지 서비스시 엣지브라우저에서 이미지가 깨지는 현상 발생,


16년 5월 기준 아직 엣지에서는 webp 지원 계획이 없음

(https://developer.microsoft.com/en-us/microsoft-edge/platform/status/webpimageformatsupport)


하지만 엣지에서도 이미지를 안깨지게 하는 방법은, mod-pagespeed를 업그레이드 해주면 해결가능


yum -y update mod-pagespeed-stable

(https://developers.google.com/speed/pagespeed/module/download?hl=ko#supported-platforms)


업그레이드후 아파치 재시작해주면 엣지에서도 정상적으로 이미지가 표시된다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Apach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치 ip 허용/차단  (0) 2016.07.07
logrotate 설정  (0) 2016.02.25
간단한 명령어로 아파치 순방문자 구하기  (0) 2016.02.17
아파치 access_log 의미  (0) 2016.01.04
웹 document root 접근시 다른 디렉토리로 redirect 하는 방법  (0) 2016.01.04
Posted by 뱀고기*

java 설치방법

Linux 2016. 5. 11. 09:17

설치 환경 : Centos 6.5 x64 

설치 버전 : java 1.7.0.51

설치전 확인 사항 

java가 설치 되었있는지 확인함

#java 

bash: java: command not found 


설치 사항

1.경로 선택및 파일 다운로드 

http://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jdk7-downloads-1880260.html

jdk-7u51-linux-x64.gz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cd /usr/local/src


2. 압축 해제 및 이동

#cd /usr/local/src

#tar zxvf jdk-7u51-linux-x64.gz

#mkdir /usr/java

#mv /usr/local/src/jdk1.7.0_51 /usr/java/jdk1.7

3.환경 설정

#vi /etc/profile

export JAVA_HOME=/usr/java/jdk1.7

export PATH=$JAVA_HOME/bin:$PATH

export CLASSPATH=$CLASSPATH:$JAVA_HOME/jre/lib/ext:$JAVA_HOME/lib/tools.jar

#source /etc/profile

4.확인 및 테스트

#java -version

#java

주의사항 

기존 자바가 있는경우 

#which java

#cd /usr/bin

#ls -al java   

변경방법

alias java = /usr/java/jdk1.7/bin/java

OR  http://tead.tistory.com/7

#alternatives--install /usr/bin/java  java /usr/java/jdk1.7/bin java 0

#alternatives --config java

출처:http://itposting.tistory.com/4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p.ini 환경설정 설명  (0) 2016.08.16
exec 명령어 사용법  (0) 2016.08.04
메모리,하드,cpu 스트레스 테스트  (0) 2016.04.07
nfs nobody 문제  (0) 2016.01.22
uptime과 top 이용 시스템 부하 체크  (0) 2016.01.20
Posted by 뱀고기*

메모리,하드,cpu 스트레스 테스트

Linux 2016. 4. 7. 10:41

행복한 스마일맨 ^^*

  • Home
  • Tag
  • MediaLog
  • LocationLog
  • Guestbook
  • Admin
  • Write
O/S/Linux

리소스(resource) 부하 테스트


서버 리소스 부하 테스트.


# 다운로드 사이트 - Stress Tool

- http://rpm.pbone.net/index.php3/stat/4/idpl/16441898/dir/redhat_el_5/com/stress-1.0.2-1.el5.rf.x86_64.rpm.html


stress-1.0.2-1.el5.rf.x86_64.rpm


# rpm 설치.

rpm -ivh stress-1.0.2-1.el5.rf.x86_64.rpm


# 실행 : cpu 부하주기.

stress –c <코어 수>

- top을 치고 1을 하면 코어 수가 나오는데, stress 프로그램으로 코어수를 지정하면 정확하게 지정된 코어 수는 100% 잡아먹습니다.


# 실행 : memory 부하주기

stress --vm 3 --vm-bytes 1024m  --timeout 60s

 - Memory를 load를 위해 2개의 process와 1024M의 메모리를 사용


# 실행 : hdd 부하주기

stress --hdd 3 --hdd-bytes 1024m --timeout 60s

 -  hard disk load를 위한 process수와 hard disk 테스트를 위한 파일의 크기를 정의


# 실행 : cpu, memory, hdd 부하주기

stress --cpu 5 --vm 3 --vm-bytes 512m --hdd 2 --hdd-bytes 1024m  --timeout 60s 

















































출처 : http://childeye.tistory.com/entry/%EB%A6%AC%EC%86%8C%EC%8A%A4resource-%EB%B6%80%ED%95%98-%ED%85%8C%EC%8A%A4%ED%8A%B8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ec 명령어 사용법  (0) 2016.08.04
java 설치방법  (0) 2016.05.11
nfs nobody 문제  (0) 2016.01.22
uptime과 top 이용 시스템 부하 체크  (0) 2016.01.20
리눅스 메모리슬롯,cpu정보,파워상태 확인방법  (0) 2016.01.20
Posted by 뱀고기*

logrotate 설정

Apache 2016. 2. 25. 10:08

1. /etc/logrotate.d

/var/log/httpd/*log {

  daily

  rotate 10

  missingok

  notifempty

  sharedscripts

  delaycompress

  postrotate

    /sbin/service httpd reload > /dev/null 2>/dev/null || true

  endscript

}


2. cd /var/log

cp -arf httpd httpd_bak

cd httpd

rm -f *


3. /etc/init.d/httpd restart



추가적으로 버츄얼호스트마다 도메인명으로 로그 생기게 해주면 더 좋음

vi /etc/httpd/conf/vhosts.conf

ErrorLog /var/log/httpd/도메인명.error_log

CustomLog /var/log/httpd/도메인명.access_log combined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Apach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치 ip 허용/차단  (0) 2016.07.07
mod-pagespeed webp 엣지 이미지 깨짐  (0) 2016.05.17
간단한 명령어로 아파치 순방문자 구하기  (0) 2016.02.17
아파치 access_log 의미  (0) 2016.01.04
웹 document root 접근시 다른 디렉토리로 redirect 하는 방법  (0) 2016.01.04
Posted by 뱀고기*

간단한 명령어로 아파치 순방문자 구하기

Apache 2016. 2. 17. 15:56

아파치 로그파일 있는 경로로 이동


cat access_log | awk '{print $1}' > total ; sort -u total > unique ; wc -l unique


awk로 아이피만 추출하여 total 이란 파일명으로 저장 > total 을 sort -u 로 정렬, 중복행 제거후 unique 파일명으로 저장 > wc -l 로 ip가 총 몇개인지 출력

저작자표시 (새창열림)

'Apach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d-pagespeed webp 엣지 이미지 깨짐  (0) 2016.05.17
logrotate 설정  (0) 2016.02.25
아파치 access_log 의미  (0) 2016.01.04
웹 document root 접근시 다른 디렉토리로 redirect 하는 방법  (0) 2016.01.04
mod_deflate 설정 확인하는법  (1) 2015.11.30
Posted by 뱀고기*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블로그 이미지

by 뱀고기*

공지사항

    최근...

  • 포스트
  • 댓글
  • 트랙백
  • 더 보기

태그

글 보관함

«   2025/05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링크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96)
Network (1)
Linux (55)
Mysql (17)
Apache (13)
SVN (2)
Cubrid (4)
Nginx (0)
AWS (2)

카운터

Total
Today
Yesterday
방명록 : 관리자 : 글쓰기
뱀고기*'s Blog is powered by daumkakao
Skin info material T Mark3 by 뭐하라
favicon

리눅스 SUPERUSER

  • 태그
  • 링크 추가
  • 방명록

관리자 메뉴

  • 관리자 모드
  • 글쓰기
  • 분류 전체보기 (96)
    • Network (1)
    • Linux (55)
    • Mysql (17)
    • Apache (13)
    • SVN (2)
    • Cubrid (4)
    • Nginx (0)
    • AWS (2)

카테고리

PC화면 보기 티스토리 Da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