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top 실행화면 의미
top 실행시
spacebar : 즉시 새로고침
f : 해당필드 제거 또는 추가
o : 필드 순서변경(화면 출력 내용 추가 제거)
F : 필드 정렬
> : 컬럼 왼쪽으로 옮김
< : 컬럼 오른쪽으로 옮김
h : 도움말
H : 스레드 표시/감추기
S : cumulative mode on/off
i : 아이들 프로세스 감추기/표시
c : 명령행에 전체명령 표시
l : 첫번째행 시스템부하율 보이기/숨기기
m: 4,5번째행 메모리정보,스왑정보 보이기/감추기
t : 2,3번째행 CPU,프로세스정보 보이기/감추기
k : 지정 프로세스 죽이기(kill)
r : renice,우선순위 조정
N : PID 기준 오름차순
P : CPU 사용률 기준 정렬
M : 메모리 사용률 기준 정렬
T : 오래실행된 프로세스 기준 정렬
d : 지정된 초단위로 화면 새로고침
q : top 종료
PID : 유일한 프로세스 번호(각각 프로세스마다 번호가 주어짐, 그 값은 겹치지않고 유일함)
USER : 프로세스 실행시킨 사용자
PR : 프로세스 우선순위
NI : 프로세스 NICE값, -일수록 높은 우선순위, +일수록 낮은순위, 0은 미적용된값
VIRT : 사용한 가상메모리 총량
RES : 물리적 메모리 사용량
SHR : 공유메모리 총량
S : 프로세스 상태 (D=중단안되는 sleep 상태, R=실행중 프로세스, S=sleep 상태 프로세스, T=trace나 stop됨, Z= ZOMBIE프로세스)
%CPU : cpu 사용률
%MEM : 메모리 사용률
TIME : 프로세스 시작된 이후 경과된 총 시간
TIME+ : 프로세스 시작된 이후 경과된 총 시간, cpu사용시간을 1/100 까지 반영함
PPID : 부모프로세스 PID값
RUSER : 실제 소유자
UID : EUID(effective user ID) 의미함
GROUP : 소유 그룹
TTY : 사용하고 있는 장치명
P : 가장 최근 사용된 cpu 나타냄
SWAP : 가상메모리 사용량
CODE : 실행코드에 할당된 물리메모리 총량
DATA : data에 할당된 물리적인 메모리 총량
nFLT : page fault 횟수 (존재하지 않는 가상메모리 주소공간에 read,write 시도시 발생)
nDRT : 변경된 데이터가 디스크에 저장되지 않은채로 메모리에 남아있는 데이터 수
WCHAN :
Flags : 스케줄링기호를 16진수로 나타냄
COMMAND:프로세스명 실행 명령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vi,vim 여러줄 주석 처리,제거방법 (0) | 2015.04.27 |
---|---|
리눅스 웹에서 php info 띄우는법 (0) | 2015.04.24 |
cp -f 사용하는 방법 alias 무시하는법 (0) | 2015.04.23 |
wc 명령어 사용법 및 옵션 (0) | 2015.04.23 |
로그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명령어 tail (0) | 2015.04.23 |